주식투자 시기를 예측하는 방법
오늘은 주식투자 시기에 대하여 배워보겠습니다.
경제적 대세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경기가 상승하면, 주가도 상승하고, 경기가 하락하면 주가도 하락한다.
회복기, 활황기, 후퇴기, 침체기 로 순환한다.
1) 경기 선행 종합 지수 : 경기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지표
경기동행 종합지수 보다 3개월-10개월 앞서 움직임. 주가도 평균 6개월 이상 앞서서 움직임
2) 기업 실사 지수 (BSI : Business Survey Index)
이는, 앞으로의 경제 상황에 대하여서, 낙관하고 있는지 비관하고 있는지 이 대답의 차이를 구한 다음 계산하는 방식이다.
미국 경기도 우리나라의 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세계 GDP 순위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경기 상황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침
(최근 미국 장이 9월을 맞이하여 급속하게 하락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여파로 국내 주식들도 조금씩 떨어지는 경향을 보임)
◆GDP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생산, 투자, 소비, 소득이 증가하여 경제가 확대된다는 뜻이므로, 기업입장에서는 이익이 중가하고 총 매출도 늘어난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가 높아진다는 뜻이므로, 주가도 상승한다.
그럼 GDP만으로 모든 것을 평가 할 수 있을까? 대답은 전혀 아니다. 이다.
잠재성장률을 고려해야합니다.
잠재성장률은 (Potential Growth Rate) 국가마다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 등의 생산요소를 모두 활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지점) 을 의미합니다. 사실 이정도는 해줘야한다~ 라는 예상이 깔린 기대겠지요.
**GDP 갭 = GDP성장률 - GDP 잠재성장률
GDP갭이 마이너스이면 경제가 불황 또는 침체국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리를 통한 예측
금리는 주가와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주가는 금리보다 앞서서 움직입니다.
금리가 더이상 하락하지 않을 떄는, 주가가 바닥인 경우가 많습니다.
◆경상수지란 무엇인가?
경상수지가 흑자이면, 주가가 상승하고, 경상수지가 저가면 주가가 하락한다.
1) GDP갭
2) Yield 갭 : 주식투자 예상 수익률과 확정부 이자율의 차이. ( 주식 투자를 하였을 때가 유리한지 여부를 판단할 때)
** 일드갭 = 주식투자 예상 수익률 - 확정부 이자율
확정부 이자율이 무엇인지는 바로 감이 올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식투자 예상 수익률은 무엇일까요?
이는 워렌버핏의 스승님인 벤자민 그레이엄이 발표한 방식을 따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의 역수에 100을 곱해서 %로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
따라서 주식투자 예상 수익률은 : 주당순이익 / 주가 *100
예를 들어, 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 나는 회사다. 그 회사의 주가는 10000원이다. 그렇다면,
예상수익률은, 0.1*100 = 10프로의 수익이 예상되는 것입니다.
PER을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을 다시 한 번 깨닫습니다.
★예시 : Naver와 삼지전자를 예로 들어보겠다.
Naver는 9월7일 오후 11시 기준 현재 주간느 314,500원이다. PER은 58.16이다.
그말은, 예상수익률은, 1/58.16*100 = 2%가 채 안되는 정도 라는 것이다.
반면, 삼지전자의 PER은 11.59이다. 1/11.59*10 = 9%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PER이 11정도 수준일 떄는, 주식투자가 유리하지만, 그것이 넘어가면 예금이 유리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시장이 나쁠 떄는 주식투자자들은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주식비중을 줄이고, 채권이나 현금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주식시장을 떠나있는 것도 답이 되지는 않습니다.
항상 시장 PER의 동향을 살피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이트 추천: 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43&tblId=DT_343_2010_S0033
시장의 PER을 종목별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KOSIS
kosis.kr
2020년 7월의 코스피200 PER은 22.97로 23으로 어림하면,
예상수익률은 1/23*100 =4%가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이를 금리와 비교하면 yield gap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
이상 주식투자를 언제 하면 좋을지와, PER지표와 예상수익률 지표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모두 좋은 경제공부 하셨길 바랍니다.